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 팀은 2009년 다임러가 브라운 GP를 인수하여 출범한 포뮬러 원(F1) 팀이다. 메르세데스는 1930년대와 1954-1955년에 F1에 참가했으며, 1993년부터 2009년까지는 엔진 공급업체로 활동했다. 2010년 워크스 팀으로 복귀하여 페트로나스를 타이틀 스폰서로 영입했고, 니코 로즈버그와 미하엘 슈마허를 드라이버로 기용했다. 2014년부터 엔진 규정 변화에 힘입어 루이스 해밀턴과 니코 로즈버그의 활약으로 8년 연속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우승을 달성하며 F1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팀으로 자리매김했다. 2022년에는 조지 러셀이 합류했고, 2025년에는 안드레아 키미 안토넬리가 드라이버로 활동할 예정이다. 메르세데스는 F1 외에도 FIA GT 선수권, 트럭 레이스, 파리 다카르 랠리, 아메리카스컵 등 다양한 모터스포츠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뮬러 원 참가자 - 레드불 레이싱
레드불 레이싱은 레드불이 재규어 레이싱 팀을 인수하여 창단한 F1 팀으로, 다양한 엔진 제조사와의 협력과 뛰어난 드라이버들을 통해 F1의 주요 강팀으로 자리매김했으며, 2026년부터는 포드 자동차와 파트너십을 맺고 새로운 엔진을 개발할 예정이다. - 포뮬러 원 참가자 - 혼다 F1
혼다 F1은 혼다 자동차 회사가 포뮬러 1에 참여한 역사를 다루며, 자체 섀시와 엔진으로 1965년 첫 우승을 시작으로 엔진 공급업체 및 워크스 팀으로 활동하다가, 2021년 철수 후 2026년 F1 복귀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 포뮬러 원 컨스트럭터 - 자우버
- 포뮬러 원 컨스트럭터 - 코스워스
코스워스는 마이크 코스틴과 키스 더크워스가 1958년에 설립한 영국의 레이싱 엔진 제조업체로, 로터스와의 협력, 포뮬러 주니어 엔진 성공, 포드의 지원을 통해 포뮬러 원을 지배한 DFV 엔진 개발 등 모터스포츠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는 엔지니어링 컨설팅 등 사업을 다각화했다.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F1 | |
---|---|
팀 정보 | |
컨스트럭터 명칭 | 메르세데스 |
전체 명칭 | 메르세데스-AMG 페트로나스 포뮬러 원 팀 |
이전 명칭 | 브론 GP |
![]() | |
위치 (섀시) | 노샘프턴셔주 블랙클리 |
위치 (파워 유닛) | 노샘프턴셔주 브릭스워스 |
팀 감독 및 CEO | 토토 볼프 |
MD, 파워트레인스 | 하이웰 토마스 |
CTO | 마이크 엘리엇 |
기술 책임자 | 제임스 앨리슨 |
기술 책임자 직위 | 기술 감독 |
드라이버 | 44. 루이스 해밀턴 |
테스트 드라이버 | 믹 슈마허 |
섀시 | F1 W14 |
엔진 | 메르세데스 F1 M14 E Performance |
타이어 | P |
경력 | |
데뷔 | 1954년 프랑스 그랑프리 |
최근 참가 | 2023년 헝가리 그랑프리 |
참가 횟수 | 282 |
컨스트럭터 정보 | |
컨스트럭터 엔진 | 메르세데스 |
컨스트럭터 챔피언 | 8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
드라이버 챔피언 | 9 (1954, 1955,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
우승 | 125 |
포디움 | 286 |
점수 | 7036.5 |
폴 포지션 | 137 |
베스트 랩 | 102 |
지난 시즌 | |
지난 시즌 | 2022 |
지난 시즌 순위 | 3위 (515 포인트) |
추가 정보 (영어 위키 문서 기반) | |
팀 본거지 | () 노샘프턴셔주 |
팀 대표자 | 토토・볼프 (헤드 오브 모터스포츠) |
기술 감독 | 제임스・앨리슨 |
2024 드라이버 | 44. 루이스・해밀턴 |
2024 테스트 드라이버 | 믹・슈마허 |
2024 섀시 | F1 W15 E Performance |
2024 엔진 | 메르세데스 M15 E Performance |
2024 타이어 | 피렐리 |
참전 연도 | 1954 - 1955, 2010 - |
출주 회수 | 317 |
컨스트럭터즈 타이틀 | 8(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
드라이버즈 타이틀 | 9(1954, 1955,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2020) |
우승 회수 | 129 |
통산 획득 포인트 | 7,690.5 (7,829139점은 컨스트럭터즈 타이틀 제정 전의 1954-1955년에 기록되었다.) |
표창대 회수 | 298 |
폴 포지션 | 141 |
패스티스트 랩 | 109 |
F1 데뷔전 | 1954년 프랑스 GP |
첫 승리 | 1954년 프랑스 GP |
전년도 | 2024 |
전년도 순위 | 4위(468 포인트) |
최신 레이스 | 2024년 최종전 아부다비 GP |
2. 역사
2009년 11월 16일, 메르세데스는 로스 브라운이 소유한 브라운 GP를 인수하여 메르세데스 GP로 하고, 주식을 메르세데스가 45.1%, 아부다비 기업인 아버 인베스트먼트가 30%를 취득했다고 발표했다.[2] 메르세데스의 그랑프리 참가는 1955년 이후 54년 만이었다.
메르세데스 AMG(GP) 이전의 메르세데스의 그랑프리 활동은 몇 가지 시대로 나눌 수 있다.
2. 1. 1930년대 그랑프리 시대
메르세데스-벤츠는 1930년대 그랑프리 자동차 경주에서 아우토 유니온과 함께 유럽 모터스포츠계를 석권했다.[3] 알프레트 노이바우어 감독의 지휘 아래, 메르세데스-벤츠 팀은 뛰어난 기술력과 체계적인 운영으로 1935년부터 1939년까지 유럽 드라이버 선수권 대회를 지배했다.메르세데스-벤츠는 W25(1934-1936), W125(1937), W154(1938-1939), W165(1939) 등 혁신적인 경주차를 개발하여 기술적 우위를 확보했다. 특히, W125는 600마력이 넘는 엔진 출력과 340km 이상의 최고 속도를 기록하며 당시 F1과 비슷한 성능을 자랑했다.[3]
루돌프 카라치올라, 만프레트 폰 브라우히치치, 헤르만 랑, 딕 시먼 등 뛰어난 드라이버들이 활약했다. 1938년, 루돌프 카라치올라는 아우토반에서 432.7km의 속도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실버 애로우"라는 별명은 1934년 뉘르부르크링에서 열린 아이펠렌넨에서 W25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흰색 페인트를 벗겨낸 일화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4] 하지만, 이 이야기는 1958년 노이바우어의 자서전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이를 뒷받침할 당시 자료는 발견되지 않았다. 1932년에 이미 폰 브라우히치가 은색 메르세데스 SSKL로 아부스 레이스에 출전했고, 당시 라디오 방송에서 그 차량을 실버 애로우라고 불렀다는 기록도 있다.[5]
메르세데스-벤츠 팀은 1939년 트리폴리 그랑프리에서 1.5리터 규정에 맞춰 단기간에 W165를 개발하여 1, 2위를 차지하는 저력을 보여주기도 했다. W165는 이 대회에서만 사용되었다.
다음은 1935년부터 1939년까지의 주요 그랑프리 성적이다.
연도 | 팀명 | 차량 | 엔진 | 타이어 | 드라이버 | 1 | 2 | 3 | 4 | 5 | 6 | 7 |
---|---|---|---|---|---|---|---|---|---|---|---|---|
1935 | 실버 애로우즈 | 메르세데스-벤츠 W25A 메르세데스-벤츠 W25B | 메르세데스-벤츠 M25A 3.4 L8 메르세데스-벤츠 M25B 4.0 L8 | 콘티넨탈 AG | MON | FRA | BEL | GER | SUI | ITA | ESP | |
루돌프 카라치올라 | Ret | 1 | 1 | 3 | 1 | Ret[2] | 1 | |||||
루이지 파지올리 | 1 | 4 | 2[1] | 6 | 2 | Ret[2] | 2 | |||||
만프레트 폰 브라우히치 | Ret | 2 | Ret[1] | 5 | Ret | Ret | 3 | |||||
헤르만 랑 | Ret | 6 | Ret | |||||||||
한스 게이어 | 7 | DNS | ||||||||||
1936 | 실버 애로우즈 | 메르세데스-벤츠 W25K | 메르세데스-벤츠 ME25 4.7 L8 | 콘티넨탈 AG | MON | GER | SUI | ITA | ||||
루돌프 카라치올라 | 1 | Ret[3] | Ret | |||||||||
만프레트 폰 브라우히치 | Ret | 7[3] | Ret | |||||||||
헤르만 랑 | Ret[3] | 4[4] | ||||||||||
루이지 파지올리 | Ret | 5[3] | Ret[4] | |||||||||
루이 시롱 | Ret | Ret | ||||||||||
1937 | 실버 애로우즈 | 메르세데스-벤츠 W125 | 메르세데스-벤츠 M125 5.6 L8 | 콘티넨탈 AG | BEL | GER | MON | SUI | ITA | |||
루돌프 카라치올라 | 1 | '2' | 1 | '1' | ||||||||
만프레트 폰 브라우히치 | Ret | 2 | 1 | 3 | Ret | |||||||
헤르만 랑 | 3 | 7 | DNS | 2 | 2 | |||||||
크리스티안 카우츠 | 4 | 6 | 3 | 6 | Ret | |||||||
딕 시먼 | Ret | DNS | 4 | |||||||||
고프레도 제헨더 | 5 | |||||||||||
1938 | 실버 애로우즈 | 메르세데스-벤츠 W154 | 메르세데스-벤츠 M154 3.0 V12 | 콘티넨탈 AG | FRA | GER | SUI | ITA | ||||
루돌프 카라치올라 | 2 | 2[5] | 1 | 3[7] | ||||||||
만프레트 폰 브라우히치 | 1 | Ret | 3 | Ret[7] | ||||||||
헤르만 랑 | '3' | Ret[5] | 10[6] | 'Ret' | ||||||||
딕 시먼 | 1 | '2' | Ret | |||||||||
월터 바우머 | Ret[5] | 10[6] | ||||||||||
1939 | 실버 애로우즈 | 메르세데스-벤츠 W154 | 메르세데스-벤츠 M154 3.0 V12 메르세데스-벤츠 M163 3.0 V12 | 콘티넨탈 AG | BEL | FRA | GER | SUI | ||||
헤르만 랑 | 1 | 'Ret' | Ret | '1' | ||||||||
루돌프 카라치올라 | Ret | Ret | 1 | 2 | ||||||||
만프레트 폰 브라우히치 | 3 | Ret | Ret | 3 | ||||||||
한스 하트먼 | 6 | |||||||||||
딕 시먼 | Ret | |||||||||||
헤인즈 브렌델 | Ret |
2. 2. 1954-1955년 F1
메르세데스-벤츠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그랑프리 자동차 경주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전쟁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전후 메르세데스-벤츠 300SL을 이용해 르망 24시간 레이스 등에 참가하며 재기를 노렸다.1954년, 메르세데스는 F1 세계 선수권 대회 참가를 결정하고, 알프레트 노이바우어를 감독으로, 1951년 챔피언 후안 마누엘 판지오를 드라이버로 영입했다. 또한, 혁신적인 기술이 적용된 메르세데스-벤츠 W196 경주차를 개발했다. W196은 오픈 휠 형태가 아닌 차체로 처음 등장하여 폴 투 윈을 기록하며 주목받았고, 이후 오픈 휠 타입도 제작되었다.
후안 마누엘 판지오와 스털링 모스의 활약으로 메르세데스는 1954년과 1955년, 두 시즌 동안 출전한 12번의 레이스에서 9번의 우승을 차지했다. 판지오는 두 해 모두 월드 챔피언에 올랐다.[2]
그러나 1955년 르망 24시간 레이스에서 피에르 르베가 운전하던 메르세데스 300SLR이 충돌하여 관중석으로 파편이 튀는 대형 사고가 발생, 2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메르세데스는 희생자들을 애도하며 레이스에서 철수했고,[6][7] 이 사고의 영향으로 스위스에서는 모터스포츠가 금지되기도 했다.[6] 결국 메르세데스는 1955년 말 모든 모터스포츠 활동을 중단하고,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복귀했다.[6]
2. 3. 1993-2009년 엔진 공급 업체
메르세데스는 1990년대 초, 엔진 제조사인 일모어에 자본 참여하며 인디카 및 포뮬러 원(F1)에 복귀할 움직임을 보였다. 1993년에는 자우버 팀에 엔진을 공급하며 F1에 간접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2] 1994년부터는 엔진에 메르세데스-벤츠 배지를 달고 공식적으로 F1에 복귀했다.1995년에는 맥라렌과 엔진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맥라렌의 지분 일부를 매입하며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 계약은 2015년까지 지속될 예정이었으며, 맥라렌은 메르세데스 엔진을 사용하여 3회의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1998년, 1999년: 미카 하키넨, 2008년: 루이스 해밀턴)과 1회의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우승을 달성했다.
2009년에는 브론 GP와 포스 인디아 팀에도 엔진을 추가로 공급했다. 당시 규정상 단일 엔진 공급자는 두 팀 이하에만 엔진을 공급할 수 있었지만, 브론 GP는 특별 공급 계약을 통해 메르세데스 엔진을 사용할 수 있었다. 브론 GP는 창단 첫 해에 젠슨 버튼이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팀은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는 이례적인 기록을 세웠다.[2]
2. 4. 2010년-현재: 메르세데스 AMG 페트로나스 F1 팀
2009년 11월 16일, 메르세데스는 로스 브라운이 소유한 브라운 GP를 인수하여 2010년 F1 세계 선수권 대회부터 '''메르세데스 GP'''로 F1에 복귀한다고 발표했다.[2] 이는 1955년 이후 54년 만의 그랑프리 복귀였다.2010년, 메르세데스는 미하엘 슈마허와 니코 로즈버그를 드라이버로 영입하여 팀을 구성했다. 그 해 메르세데스 GP 페트로나스 포뮬러 원 팀은 MGP W01 섀시와 메르세데스 FO108X 엔진을 사용하여 컨스트럭터 순위 4위를 기록했다.[2] 2011년에도 같은 드라이버 라인업으로 MGP W02 섀시와 메르세데스 FO108Y 엔진을 사용하여 다시 한번 컨스트럭터 순위 4위를 차지했다.
2012년부터 팀 명칭을 메르세데스 AMG 페트로나스 F1 팀으로 변경했다. 이 해에는 F1 W03 섀시와 메르세데스 FO108Z 엔진을 사용했으며, 컨스트럭터 순위는 5위로 하락했다.
2013년에는 루이스 해밀턴이 미하엘 슈마허를 대신하여 팀에 합류했다. F1 W04 섀시와 메르세데스 FO108F 엔진을 사용한 메르세데스는 컨스트럭터 순위 2위를 기록하며 이전보다 향상된 성적을 보여주었다.
메르세데스 AMG 페트로나스 F1 팀의 2010년부터 2013년까지의 F1 참가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엔트리명 | 차체 모델 | 타이어 | 엔진 | 드라이버 | 순위 | 포인트 | 우승 횟수 |
---|---|---|---|---|---|---|---|---|
2010 | 메르세데스 GP · 페트로나스 · 포뮬러 1 팀 | MGP W01 | B | 메르세데스 FO108X (2.4L V8) | 미하엘 슈마허 니코 로즈버그 | 4위 | 214 | 0 |
2011 | 메르세데스 GP · 페트로나스 · 포뮬러 1 팀 | MGP W02 | P | 메르세데스 FO108Y (2.4L V8) | 미하엘 슈마허 니코 로즈버그 | 4위 | 165 | 0 |
2012 | 메르세데스 AMG · 페트로나스 · F1 팀 | F1 W03 | P | 메르세데스 FO108Z (2.4L V8) | 미하엘 슈마허 니코 로즈버그 | 5위 | 142 | 1 |
2013 | 메르세데스 AMG · 페트로나스 · F1 팀 | F1 W04 | P | 메르세데스 FO108F (2.4L V8) | 니코 로즈버그 루이스 해밀턴 | 2위 | 360 | 3 |
2. 4. 1. 2014-2021: F1 역사상 최강팀
2014 시즌에는 새로운 엔진 규정이 도입되면서, 메르세데스는 압도적인 성능으로 F1을 지배하기 시작했다. 루이스 해밀턴과 니코 로즈버그는 치열한 경쟁을 펼치며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 연속 드라이버 챔피언십을 번갈아 차지했다. (해밀턴: 2014, 2015; 로즈버그: 2016)[2] 2016년 시즌 후, 니코 로즈버그는 은퇴를 선언했고, 발테리 보타스가 팀에 합류했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루이스 해밀턴은 4년 연속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며 F1 역사상 가장 위대한 드라이버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메르세데스는 2014년부터 2021년까지 8년 연속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우승이라는 전례 없는 기록을 달성하며 F1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팀이 되었다. 2020년, 루이스 해밀턴은 미하엘 슈마허와 함께 F1 역사상 최다인 7번의 월드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했다. 2021년 시즌에는 레드불 레이싱과 막스 페르스타펜과의 치열한 경쟁 끝에 컨스트럭터 챔피언십은 우승했으나, 드라이버 챔피언십은 아쉽게 놓쳤다.연도 | 섀시 | 엔진 | 타이어 | 드라이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드라이버 포인트 | 포인트 | 순위 |
---|---|---|---|---|---|---|---|---|---|---|---|---|---|---|---|---|---|---|---|---|---|---|---|---|---|---|---|---|---|---|---|
2014 | F1 W05 Hybrid | 메르세데스 PU106A Hybrid | P | AUS | MAL | BHR | CHN | ESP | MON | CAN | AUT | GBR | GER | HUN | BEL | ITA | SIN | JPN | RUS | USA | BRA | ABU | 701 | 1위 | |||||||
해밀턴 | Ret | '1' | 1 | 1 | 1 | 2 | 리타이어 | 2 | 1 | 3 | 3 | 리타이어 | '1' | '1' | 1 | 1 | 1 | 2 | 1 | 384 | |||||||||||
로즈버그 | 1 | 2 | '2' | 2 | 2 | 1 | 2 | 1 | Ret | 1 | '4' | '2' | '1' | 1 | 5 | 2 | 4 | 7 | '13' | 317 |
2. 4. 2. 2022-현재: 새로운 도전
2022년, 새로운 기술 규정이 도입되면서 메르세데스는 어려움을 겪었다. 조지 러셀이 발테리 보타스를 대신하여 팀에 합류했다. "제로 포드" 디자인을 채택한 W13 머신은 포포이징 현상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었고, 2022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3위에 그쳤다.[1] 2023년, W14 머신은 블랙 컬러링을 채택하고, 시즌 중반 사이드 포드 디자인을 변경하는 등 개선을 시도했지만,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2위에 머물렀다.[1]연도 | 섀시 | 엔진 | 타이어 | 드라이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드라이버 포인트 | 포인트 | 순위 |
---|---|---|---|---|---|---|---|---|---|---|---|---|---|---|---|---|---|---|---|---|---|---|---|---|---|---|---|---|---|---|---|
rowspan="2"| | F1 W13 E Performance | 메르세데스 M13 E Performance (1.6L V6t) | P | 조지 러셀 | colspan="24" | | 515 | 3위 | ||||||||||||||||||||||||
루이스 해밀턴 | colspan="24" | | ||||||||||||||||||||||||||||||
rowspan="2"| | F1 W14 E Performance | 메르세데스 M14 E Performance (1.6L V6t) | P | 조지 러셀 | colspan="24" | | 409 | 2위 | ||||||||||||||||||||||||
루이스 해밀턴 | colspan="24" | | ||||||||||||||||||||||||||||||
rowspan="2"| | F1 W15 E Performance | 메르세데스 M15 E Performance (1.6L V6t) | P | 조지 러셀 | colspan="24" | | 468 | 4위 | ||||||||||||||||||||||||
루이스 해밀턴 | colspan="24" | |
2010년과 2011년, 메르세데스 GP는 F1 코리아 그랑프리에 참가하여 한국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1] 특히, 미하엘 슈마허의 복귀는 한국 모터스포츠 팬들에게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1] 더불어민주당은 메르세데스-벤츠의 F1 성공 사례를 통해 기술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내 자동차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 수립에 참고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메르세데스-벤츠의 F1 참가는 한국 모터스포츠 문화 저변 확대에 기여하며, 젊은 세대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한다.
메르세데스-벤츠는 1930년대 그랑프리 자동차 경주에서 아우토 유니온(Auto Union)과 함께 독보적인 활약을 펼쳤다. 1954년에는 포뮬러 원 경주에 참가하여, 1951년에 챔피언십 타이틀을 획득했던 후안 마누엘 판지오를 영입, 1954년과 1955년에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1955년 르망 24시 경주 도중 메르세데스 경주차의 충돌 사고로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84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고, 이후 메르세데스는 포뮬러 원을 포함한 모든 모터스포츠에서 철수했다.[2]
3. 대한민국과의 관계
4. 그랑프리 및 포뮬러 원 성적
메르세데스는 1993년부터 2009년까지 엔진 공급업체로 활동했다.
메르세데스 AMG(GP) 이전의 메르세데스의 그랑프리 활동은 1935년부터 1939년까지, 1954년과 1955년, 2010년부터 현재까지로 나눌 수 있다.
메르세데스의 1935년부터 1939년까지 그랑프리 자동차 경주와 1954-1955년, 그리고 2010년부터 현재까지 F1에서 거둔 성적은 다음과 같다.
'''굵은''' 숫자는 폴 포지션을, ''기울임꼴'' 숫자는 패스티스트 랩을 나타낸다.연도 팀명 차량 엔진 타이어 드라이버 1 2 3 4 5 6 7 1935 실버 애로우즈 메르세데스-벤츠 W25A
메르세데스-벤츠 W25B메르세데스-벤츠 M25A 3.4 L8
메르세데스-벤츠 M25B 4.0 L8콘티넨탈 AG MON FRA BEL GER SUI ITA ESP 루돌프 카라치올라 Ret 1 1 3 1 Ret 1 루이기 파기올리 1 4 2 6 2 Ret 2 만프레드 폰 브라우치슈 Ret 2 Ret 5 Ret Ret 3 허먼 랭 Ret 6 Ret 한스 게이어 7 DNS 1936 실버 애로우즈 메르세데스-벤츠 W25K 메르세데스-벤츠 ME25 4.7 L8 콘티넨탈 AG MON GER SUI ITA 루돌프 카라치올라 1 Ret Ret 만프레드 폰 브라우치슈 Ret 7 Ret 허먼 랭 Ret 4 루이기 파기올리 Ret 5 Ret 루이스 시론 Ret Ret 1937 실버 애로우즈 메르세데스-벤츠 W125 메르세데스-벤츠 M125 5.6 L8 콘티넨탈 AG BEL GER MON SUI ITA 루돌프 카라치올라 1 '2' 1 '1' 만프레드 폰 브라우치슈 Ret 2 1 3 Ret 허먼 랭 3 7 DNS 2 2 크리스티안 카우츠 4 6 3 6 Ret 리처드 시먼 Ret DNS 4 고프레도 제헨더 5 1938 실버 애로우즈 메르세데스-벤츠 W154 메르세데스-벤츠 M154 3.0 V12 콘티넨탈 AG FRA GER SUI ITA 루돌프 카라치올라 2 2 1 3 만프레드 폰 브라우치슈 1 Ret 3 Ret 허먼 랭 '3' Ret 10 'Ret' 리처드 시먼 1 '2' Ret 월터 바우머 Ret 10 1939 실버 애로우즈 메르세데스-벤츠 W154 메르세데스-벤츠 M154 3.0 V12
메르세데스-벤츠 M163 3.0 V12콘티넨탈 AG BEL FRA GER SUI 허먼 랭 1 'Ret' Ret '1' 루돌프 카라치올라 Ret Ret 1 2 만프레드 폰 브라우치슈 3 Ret Ret 3 한스 하트먼 6 리처드 시먼 Ret 헤인즈 브렌델 Ret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95%"
! 연도
! 팀 이름
! 차량
! 엔진
! 타이어
! 드라이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21
! 포인트
! WCC
|-
!rowspan="5"| 1954
|rowspan="5"| 다임러 벤츠 AG
|rowspan="5"| 메르세데스-벤츠 W196
|rowspan="5"| 메르세데스-벤츠 2.5 L8
|rowspan="5"| '''콘티넨탈 AG'''
| ARG
| 500
| BEL
| FRA
| GBR
| GER
| SUI
| ITA
| ESP
|
|
|
|
|
|
|
|
|
|
|
|
|rowspan="5"| '''-*'''
|rowspan="5"| '''-*'''
|-
|align="left"| 후안 마누엘 판지오
|
|
|
| style="background:#ffffbf;"| '''1'''
| style="background:#dfffdf;"| '''''4'''''
| style="background:#ffffbf;"| '''1'''
| style="background:#ffffbf;"| ''1''
| style="background:#ffffbf;"| '''1'''
| style="background:#ffdf9f;"| 3
|
|
|
|
|
|
|
|
|
|
|
|
|-
|align="left"| 카를 클링
|
|
|
| style="background:#dfdfdf;"| 2
| style="background:#cfcfff;"| 7
| style="background:#dfffdf;"| ''4''
| style="background:#efcfff;"| Ret
| style="background:#efcfff;"| Ret
| style="background:#dfffdf;"| 5
|
|
|
|
|
|
|
|
|
|
|
|
|-
|align="left"| 한스 헤르만
|
|
|
| style="background:#efcfff;"| ''Ret''
|
| style="background:#efcfff;"| Ret
| style="background:#ffdf9f;"| 3
| style="background:#dfffdf;"| 4
| style="background:#efcfff;"| Ret
|
|
|
|
|
|
|
|
|
|
|
|
|-
|align="left"| 헤르만 랑
|
|
|
|
|
| style="background:#efcfff;"| Ret
|
|
|
|
|
|
|
|
|
|
|
|
|
|
|
|-
!rowspan="7"| 1955
|rowspan="7"| 다임러 벤츠 AG
|rowspan="7"| 메르세데스-벤츠 W196
|rowspan="7"| 메르세데스-벤츠 2.5 L8
|rowspan="7"| '''콘티넨탈 AG'''
| ARG
| MON
| 500
| BEL
| NED
| GBR
| ITA
|
|
|
|
|
|
|
|
|
|
|
|
|
|
|rowspan="7"| '''-*'''
|rowspan="7"| '''-*'''
|-
|align="left"| 후안 마누엘 판지오
| style="background:#ffffbf;"| ''1''
| style="background:#efcfff;"| '''''Ret'''''
|
| style="background:#ffffbf;"| ''1''
| style="background:#ffffbf;"| '''1'''
| style="background:#dfdfdf;"| 2
| style="background:#ffffbf;"| '''1'''
|
|
|
|
|
|
|
|
|
|
|
|
|
|
|-
|align="left"| 카를 클링
| style="background:#dfffdf;"| 4†
|
|
| style="background:#efcfff;"| Ret
| style="background:#efcfff;"| Ret
| style="background:#ffdf9f;"| 3
| style="background:#efcfff;"| Ret
|
|
|
|
|
|
|
|
|
|
|
|
|
|
|-
|align="left"| 한스 헤르만
| style="background:#dfffdf;"| 4†
| style="background:#FFCFCF;"| DNQ
|
|
|
|
|
|
|
|
|
|
|
|
|
|
|
|
|
|
|-
|align="left"| 스털링 모스
| style="background:#dfffdf;"| 4†
| style="background:#cfcfff;"| 9
|
| style="background:#dfdfdf;"| 2
| style="background:#dfdfdf;"| 2
| style="background:#ffffbf;"| '''''1'''''
| style="background:#efcfff;"| ''Ret''
|
|
|
|
|
|
|
|
|
|
|
|
|
|
|-
|align="left"| 앙드레 시몽
|
| style="background:#efcfff;"| Ret
|
|
|
|
|
|
|
|
|
|
|
|
|
|
|
|
|
|
|-
|align="left"| 피에로 타루피
|
|
|
|
|
| style="background:#dfffdf;"| 4
| style="background:#dfdfdf;"| 2
|
|
|
|
|
|
|
|
|
|
|
|
|
|
|-
| colspan="28" align="center" | 1956 – 2009: 메르세데스는 팀으로 참가하지 않음
|-
!rowspan="3"| 2010
|rowspan="3"| 메르세데스 GP
페트로나스 F1
|rowspan="3"| 메르세데스 MGP W01
|rowspan="3"| 메르세데스-벤츠 FO 108X 2.4 V8
|rowspan="3"| '''브리지스톤'''
| BHR
| AUS
| MAL
| CHN
| ESP
| MON
| TUR
| CAN
| EUR
| GBR
| GER
| HUN
| BEL
| ITA
| SIN
| JPN
| KOR
| BRA
| ABU
|
|
|rowspan="3" | '''214'''
|rowspan="3" | '''4위'''
|-
|align="left"| 미하엘 슈마허
|bgcolor="#DFFFDF"| 6
|bgcolor="#DFFFDF"| 10
|bgcolor="#EFCFFF"| Ret
|bgcolor="#DFFFDF"| 10
|bgcolor="#DFFFDF"| 4
|bgcolor="#cfcfff"| 12
|bgcolor="#DFFFDF"| 4
|bgcolor="#cfcfff"| 11
|bgcolor="#cfcfff"| 15
|bgcolor="#DFFFDF"| 9
|bgcolor="#DFFFDF"| 9
|bgcolor="#cfcfff"| 11
|bgcolor="#DFFFDE"| 7
|bgcolor="#DFFFDE"| 9
|bgcolor="#cfcfff"| 13
|bgcolor="#DFFFDE"| 6
|bgcolor="#DFFFDE"| 4
|bgcolor="#DFFFDE"| 7
|bgcolor="#EFCFFF"| Ret
|
|
|-
|align="left"| 니코 로스베르크
|bgcolor="#DFFFDF"| 5
|bgcolor="#DFFFDF"| 5
|bgcolor="#FFDF9F"| 3
|bgcolor="#FFDF9F"| 3
|bgcolor="#cfcfff"| 13
|bgcolor="#DFFFDF"| 7
|bgcolor="#DFFFDF"| 5
|bgcolor="#DFFFDF"| 6
|bgcolor="#DFFFDF"| 10
|bgcolor="#FFDF9F"| 3
|bgcolor="#DFFFDF"| 8
|bgcolor="#EFCFFF"| Ret
|bgcolor="#DFFFDE"| 6
|bgcolor="#DFFFDE"| 5
|bgcolor="#DFFFDE"| 5
|bgcolor="#CFCFFF"| 17
|bgcolor="#EFCFFF"| Ret
|bgcolor="#DFFFDE"| 6
|bgcolor="#DFFFDE"| 4
|
|
|-
!rowspan="3"| 2011
|rowspan="3"| 메르세데스 GP
페트로나스 F1
|rowspan="3"| 메르세데스 MGP W02
|rowspan="3"| 메르세데스-벤츠 FO 108Y 2.4 V8
|rowspan="3"| '''피렐리'''
||
|| AUS
|| MAL
|| CHN
|| TUR
|| ESP
|| MON
|| CAN
|| EUR
|| GBR
|| GER
|| HUN
|| BEL
|| ITA
|| SIN
|| JPN
|| KOR
|| IND
|| ABU
|| BRA
|
|
|rowspan="3"| '''165'''
|rowspan="3"| '''4위'''
|-
|align="left"| 미하엘 슈마허
|bgcolor="#EFCFFF"| Ret
|bgcolor="#DFFFDE"| 9
|bgcolor="#DFFFDE"| 8
|bgcolor="#cfcfff"| 12
|bgcolor="#DFFFDE"| 6
|bgcolor="#EFCFFF"| Ret
|bgcolor="#DFFFDE"| 4
|bgcolor="#cfcfff"| 17
|bgcolor="#DFFFDE"| 9
|bgcolor="#DFFFDE"| 8
|bgcolor="#EFCFFF"| Ret
|bgcolor="#DFFFDE"| 5
|bgcolor="#DFFFDE"| 5
|bgcolor="#EFCFFF"| Ret
|bgcolor="#DFFFDE"| 6
|bgcolor="#EFCFFF"| Ret
|bgcolor="#DFFFDE"| 5
|bgcolor="#DFFFDE"| 7
|bgcolor="#cfcfff"| 15
|
|
|-
|align="left"| 니코 로스베르크
|bgcolor="#EFCFFF"| Ret
|bgcolor="#cfcfff"| 12
|bgcolor="#DFFFDE"| 5
|bgcolor="#DFFFDE"| 5
|bgcolor="#DFFFDE"| 7
|bgcolor="#cfcfff"| 11
|bgcolor="#cfcfff"| 11
|bgcolor="#DFFFDE"| 7
|bgcolor="#DFFFDE"| 6
|bgcolor="#DFFFDE"| 7
|bgcolor="#DFFFDE"| 9
|bgcolor="#DFFFDE"| 6
|bgcolor="#EFCFFF"| Ret
|bgcolor="#DFFFDE"| 7
|bgcolor="#DFFFDE"| 10
|bgcolor="#DFFFDE"| 8
|bgcolor="#DFFFDE"| 6
|bgcolor="#DFFFDE"| 6
|bgcolor="#DFFFDE"| 7
|
|
|-
!rowspan="3"| 2012
|rowspan="3"| 메르세데스 AMG
페트로나스 F1
|rowspan="3"| 메르세데스 F1 W03
|rowspan="3"| 메르세데스-벤츠 FO 108Z 2.4 V8
|rowspan="3"| '''피렐리'''
||
|| AUS
|| MAL
|| CHN
|| BHR
|| ESP
|| MON
|| CAN
|| EUR
|| GBR
|| GER
|| HUN
|| BEL
|| ITA
|| SIN
|| JPN
|| KOR
|| IND
|| ABU
|| USA
|| BRA
|
|rowspan="3"| '''142'''
|rowspan="3"| '''5위'''
|-
|align="left"| 미하엘 슈마허
|bgcolor="#EFCFFF"| Ret
|bgcolor="#DFFFDE"| 10
|bgcolor="#EFCFFF"| Ret
|bgcolor="#DFFFDE"| 10
|bgcolor="#EFCFFF"| Ret
|bgcolor="#EFCFFF"| Ret
|bgcolor="#EFCFFF"| Ret
|bgcolor="#FFDF9F"| 3
|bgcolor="#DFFFDE"| 7
|bgcolor="#DFFFDE"| ''7''
|bgcolor="#EFCFFF"| Ret
|bgcolor="#DFFFDE"| 7
|bgcolor="#DFFFDE"| 6
|bgcolor="#EFCFFF"| Ret
|bgcolor="#cfcfff"| 11
|bgcolor="#cfcfff"| 13
|bgcolor="#cfcfff"| 22
|bgcolor="#cfcfff"| 11
|bgcolor="#cfcfff"| 16
|bgcolor="#DFFFDE"| 7
|
|-
|align="left"| 니코 로스베르크
|bgcolor="#cfcfff"| 12
|bgcolor="#cfcfff"| 13
|bgcolor="#ffffbf"| '''1'''
|bgcolor="#DFFFDf"| 5
|bgcolor="#DFFFDE"| 7
|bgcolor="#DFDFDF"| 2
|bgcolor="#DFFFDE"| 6
|bgcolor="#DFFFDE"| ''6''
|bgcolor="#cfcfff"| 15
|bgcolor="#DFFFDE"| 10
|bgcolor="#DFFFDE"| 10
|bgcolor="#cfcfff"| 11
|bgcolor="#DFFFDE"| ''7''
|bgcolor="#DFFFDE"| 5
|bgcolor="#EFCFFF"| Ret
|bgcolor="#EFCFFF"| Ret
|bgcolor="#cfcfff"| 11
|bgcolor="#EFCFFF"| Ret
|bgcolor="#cfcfff"| 13
|bgcolor="#cfcfff"| 15
|
† 함께 운전한 부분을 포함.
5. 기타 활동
메르세데스-벤츠는 F1 외에도 FIA GT 선수권, 르망 24시, 트럭 레이스, 랠리 레이드 등 다양한 모터스포츠 분야에 참여해 왔다. 특히 1997년 FIA GT 선수권에서는 CLK-GTR을 투입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1980년대에 메르세데스는 모터스포츠 복귀를 선언하고 자우버와 공동으로 세계 스포츠 프로토타입 카 선수권(WSPC)에 출전했다. 1989년에는 미하엘 슈마허, 하인츠-하랄트 프렌첸, 카를 벤들링거를 육성하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8]
1985년 르망 24시에 복귀하여 1989년에 종합 우승을 달성했다. 1999년에는 메르세데스-벤츠 CLR이 예선, 프리 주행, 결승 레이스에서 세 번이나 공중으로 날아오르는 사고를 일으켰고, 이후 르망에는 참전하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요트 레이스 아메리카스컵에 참가하는 팀과 기술 제휴를 맺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참조
[1]
문서
139{{分数|7|50}}点はコンストラクターズタイトル制定前の1954-1955年に記録された。
[2]
뉴스
ブラウンGP 「メルセデスGP」に
http://f1.gpupdate.n[...]
Gp Update
2009-11-16
[3]
웹사이트
スティーブンに聞く! - 2011年7月17日
http://ja.espnf1.com[...]
2011-07-21
[4]
웹사이트
いかにしてシルバー・アロー伝説は生まれたか
http://www.mercedes-[...]
2016-11-10
[5]
웹사이트
''
https://web.archive.[...]
2016-11-10
[6]
웹사이트
1955: Le Mans disaster claims 77 lives
http://news.bbc.co.u[...]
BBC
[7]
웹사이트
50 years ago, the day that tragedy struck Le Man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5-06-11
[8]
문서
ヴェンドリンガーはオーストリア人である
[9]
웹사이트
Daimler AG and McLaren Group change form of their cooperation
http://www.daimler.c[...]
[10]
뉴스
Mercedes takes over Brawn
http://www.autosport[...]
Haymarket Media
2009-11-16
[11]
뉴스
Mercedes takes over Brawn F1 team
http://news.bbc.co.u[...]
BBC News
2009-11-16
[12]
뉴스
February debut, Petronas backing for Mercedes
http://www.formula1.[...]
Formula One Administration
2009-12-21
[13]
뉴스
メルセデスGP:ニコ・ロズベルグ加入のプレスリリース
http://www.as-web.jp[...]
AUTOSPORT Web
2009-11-23
[14]
뉴스
メルセデス、ふたり目のドライバーはクリスマス前に発表の見込み
http://www.as-web.jp[...]
AUTOSPORT Web
2009-11-26
[15]
뉴스
メルセデスGP、ミハエル・シューマッハーと正式契約!
http://www.as-web.jp[...]
AUTOSPORT Web
2009-12-23
[16]
뉴스
Michael Schumacher's defection to Mercedes breaks Ferrari hearts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0-12-18
[17]
뉴스
ハウグ、シューマッハーの“帰還”に歓喜「19年前の研修生が帰ってくるのを温かく迎えたい」
http://www.as-web.jp[...]
AUTOSPORT Web
2009-12-23
[18]
뉴스
Bernie Ecclestone hails return of 'comeback kid' Michael Schumacher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0-12-24
[19]
웹사이트
メルセデス、レースペースに集中
http://ja.espnf1.com[...]
2012-04-13
[20]
웹사이트
かつて親友だったふたり……ロズベルグとハミルトンの友情が崩壊した日:2014年モナコGP
https://jp.motorspor[...]
2020-05-30
[21]
뉴스
王者決定まで緊張は緩まず
http://ja.espnf1.com[...]
espnf1.com
2014-07-29
[22]
뉴스
メルセデス、ファンへの手紙でチーム内で陰謀説を否定
http://f1-gate.com/m[...]
2016-05-05
[23]
웹사이트
ロズベルグ、メルセデスと2018年までの新契約にサイン
http://www.as-web.jp[...]
2016-07-22
[24]
웹사이트
ニコ・ロズベルグ、F1引退を発表
http://f1-gate.com/r[...]
F1-Gate.com
2016-12-02
[25]
뉴스
メルセデス、バルテリ・ボッタスの起用を正式発表
http://f1-gate.com/m[...]
F1-Gate.com
2017-01-17
[26]
뉴스
メルセデス、パディ・ロウの離脱を正式発表
http://f1-gate.com/m[...]
F1-Gate.com
2016-01-11
[27]
뉴스
メルセデス、ジェームス・アリソンの加入を正式発表
http://f1-gate.com/m[...]
F1-Gate.com
2016-02-16
[28]
웹사이트
パット・シモンズがメルセデスF1苦戦の理由を分析。「チームは長年に渡ってタイヤの問題を抱えてきた」
https://www.as-web.j[...]
オートスポーツweb
2018-04-27
[29]
웹사이트
F1 Topic:新PU投入で絶対王者メルセデスを脅かす存在となったフェラーリ
https://www.as-web.j[...]
オートスポーツweb
2018-06-14
[30]
웹사이트
序盤3戦で勝利を逃したメルセデスF1、「全チームがタイヤの影響に悩んでいる」と分析
https://www.as-web.j[...]
オートスポーツweb
2018-04-21
[31]
웹사이트
F1合同テストで総合トップのハミルトン、最終日は「全体的にポジティブな感触」
https://www.as-web.j[...]
オートスポーツweb
2018-03-02
[32]
웹사이트
ハミルトン、F1アゼルバイジャンGPで優勝もマシンは前年型よりも「運転が難しい」と困惑
https://www.as-web.j[...]
オートスポーツweb
2018-05-03
[33]
웹사이트
ボッタス「スーパーソフトタイヤがうまく機能しない」メルセデス F1スペインGP金曜
https://www.as-web.j[...]
オートスポーツweb
2018-05-12
[34]
웹사이트
新5冠王となったハミルトンの心理戦と、ベッテルの後悔。タイトル争いの流れを決めた6つのレース【今宮純のF1総括】
https://www.as-web.j[...]
AUTOSPORTweb
2018-11-07
[35]
웹사이트
メルセデス帝国の落日を見たとヒル
http://ja.espnf1.com[...]
2018-04-14
[36]
뉴스
メルセデスの冷却不足は”基本設計”が原因「パッケージング追求のあまり……」
https://jp.motorspor[...]
jp.motorsport.com
2019-07-04
[37]
웹사이트
イタリアのメディアも認める「ハミルトンのライバルたちにもうF1タイトルの望みはない」
http://www.topnews.j[...]
www.topnews.jp
2019-06-26
[38]
웹사이트
F1日本GP決勝:ボッタス今季3勝目、メルセデスがコンストラクターズタイトル決定
https://jp.motorspor[...]
motorsport.com
2019-10-13
[39]
웹사이트
メルセデスF1、2020年型マシン『W11』のカラーリングをお披露目。スポンサーカラーのレッドをあしらう
https://www.as-web.j[...]
AUTOSPORTweb
2020-02-10
[40]
문서
2017年以降は「メルセデス・F1 W~ '''EQ Power+'''」となっていたが、今季は「メルセデスAMG・F1 W11 '''EQ Performance'''」という名称に変更された。
[41]
뉴스
黒人差別撤廃を訴えるハミルトン、抗議デモに参加 コミッションを設立
https://formula1-dat[...]
formula1-data.com
2020-06-22
[42]
뉴스
メルセデスF1、漆黒の「ブラック・アロー」を投入…反人種差別姿勢を強調
https://formula1-dat[...]
formula1-data.com
2020-06-29
[43]
뉴스
メルセデス、“前人未到”のタイトル7連覇。貢献ハミルトン「信じられない記録」と称賛
https://jp.motorspor[...]
jp.motorsports.com
2020-11-02
[44]
뉴스
【F1 トルコGP】ハミルトンが優勝、シューマッハに並ぶ7度目のタイトルを獲得
https://response.jp/[...]
response.jp
2020-11-15
[45]
뉴스
Daimler to lose full control over the Mercedes F1 team
https://racingnews36[...]
RacingNews365
2021-05-19
[46]
뉴스
マクラーレンF1、メルセデスエンジン搭載の2021年型『MCL35M』を初始動
https://www.as-web.j[...]
www.as-web.jp
2021-01-28
[47]
뉴스
メルセデスF1、テスト前の未シェイクダウンを後悔…ギアボックスの問題特定進まず 2014年以来の試練
https://formula1-dat[...]
formula1-data.com
2021-03-13
[48]
뉴스
メルセデスF1、ローレーキ・コンセプトが苦戦の一因と分析「2021年規則変更は我々に不利に働いた」
https://www.as-web.j[...]
www.as-web.jp
2021-04-01
[49]
뉴스
課題山積メルセデス、対レッドブル・ホンダにレースペースのみならず低燃料走行でも「及ばない」と認める
https://formula1-dat[...]
formula1-data.com
2021-03-15
[50]
뉴스
レッドブル・ホンダ優位は「公正な見解」とメルセデス…F1開幕までのギャップ解消は困難
https://formula1-dat[...]
formula1-data.com
2021-03-19
[51]
뉴스
レッドブル、4連覇以来の開幕ポールと有望も「メルセデスはすぐそこまで迫っている」とホーナー
https://formula1-dat[...]
formula1-data.com
2021-03-28
[52]
뉴스
【F1分析:バーレーンGP決勝】ハミルトンの秀逸すぎるタイヤマネジメント……絶体絶命の状況を打破
https://jp.motorspor[...]
jp.motorsport.com
2021-03-30
[53]
뉴스
メルセデス、空力開発とコース特性とのマッチングで対レッドブル戦に向け競争力向上「後はセットアップの微調整のみ」
https://formula1-dat[...]
formula1-data.com
2021-04-17
[54]
뉴스
レッドブル・ホンダの勝利を決定付けメルセデスを苦悩させた要因 / F1エミリア・ロマーニャGP分析
https://formula1-dat[...]
formula1-data.com
2021-04-21
[55]
뉴스
ハミルトンが97勝目「マックスに抜かれた時は『なんてばかなんだ』と自分を罵った」メルセデス/F1第3戦決勝
https://www.as-web.j[...]
www.as-web.jp
2021-05-03
[56]
뉴스
ハミルトン、大胆な戦略で首位奪還「2ストップの指示に従うべきかどうか迷った」メルセデス/F1第4戦決勝
https://www.as-web.j[...]
www.as-web.jp
2021-05-10
[57]
뉴스
F1モナコGP決勝:フェルスタッペン完勝で選手権首位に。PPルクレールに悲劇、角田は16位
https://jp.motorspor[...]
jp.motorsport.com
2021-05-24
[58]
웹사이트
F1トルコGP決勝後ポイントランキング:フェルスタッペン首位奪還も、コンストラクターでの差は拡大
https://formula1-dat[...]
Fomula1-Data
2021-10-11
[59]
웹사이트
フェルスタッペン9勝…セナのホンダF1ドライバー年間最多優勝を更新、タイトル獲得に向け「大きな意味のあるレース」と田辺TD
https://formula1-dat[...]
Fomula1-Data
2021-11-08
[60]
뉴스
ペレス、壁となりリタイヤする事でフェルスタッペンの戴冠を援護「何より大切なのはチーム。これ以上の喜びはない」
https://formula1-dat[...]
formula1-data.com
2021-12-13
[61]
웹사이트
劇的展開でF1チャンピオンに輝いたフェルスタッペン「最終周まで勝機は見えなかった。ジェットコースターに乗っているようだった」
https://www.as-web.j[...]
auto sport Web
2021-12-13
[62]
뉴스
革新的だが最速ではない? メルセデス風の”ゼロポッド”採用を敢えて見送ったフェラーリとハース
https://formula1-dat[...]
formula1-data.com
2022-03-16
[63]
뉴스
新型サイドポッドの投入により悪化したメルセデスW13のポーパシング問題
https://formula1-dat[...]
formula1-data.com
2022-03-25
[64]
뉴스
F1分析|ポーパシングに悩まされるメルセデス。そんな状況でも”中団グループ落ち”は阻止する底力
https://jp.motorspor[...]
jp.motorsport.com
2022-06-15
[65]
뉴스
1.2秒落ちのメルセデス「何をしても良くならない」為す術なき状況に苛立つハミルトン…選手権9連覇は絶望的か
https://formula1-dat[...]
formula1-data.com
2022-04-08
[66]
웹사이트
ルイス・ハミルトンのフェラーリ電撃移籍が正式発表! 黄金時代築いたメルセデスは今季限りで離脱……跳ね馬株価も過去最高値を更新
https://jp.motorspor[...]
motorsport.com
2024-02-02
[67]
웹사이트
もうトップ3には届かない……メルセデスF1、残り3戦で主眼は2025年に「苦手分野は変わらない。学びに集中」
https://jp.motorspor[...]
motorsport.com
2024-11-13
[68]
웹사이트
メルセデスF1、2025年のアンドレア・キミ・アントネッリ起用を正式発表。ラッセルとのコンビに
https://www.as-web.j[...]
autosport web
2024-08-31
[69]
웹사이트
バルテリ・ボッタスがメルセデスに復帰。2025年はリザーブドライバーを務めると発表
https://www.as-web.j[...]
autosport web
2024-12-19
[70]
문서
Partners
https://www.ineosbri[...]
INEOS Britannia
[71]
웹인용
Brackley
https://www.mercedes[...]
2021-06-14
[72]
웹인용
Brixworth
https://www.mercedes[...]
2021-06-14
[73]
웹인용
Toto Wolff
https://www.mercedes[...]
2021-06-14
[74]
웹인용
Lewis Hamilton
https://www.mercedes[...]
2021-06-14
[75]
웹인용
George Russell
https://www.mercedes[...]
2022-05-07
[76]
웹인용
"Mick Schumacher to join Mercedes as reserve driver for 2023"
https://amp.formula1[...]
2023-01-15
[77]
웹인용
Mercedes W14: February 15 launch date confirmed for team's 2023 F1 car
https://www.skysport[...]
2023-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